더듬이의 헬로월드

Hello, World!

728x90

프로그래밍 언어 32

[C++기본] 10.지역 변수와 전역 변수

변수의 영역과 메모리 역역 변수의 영역 1.지역 변수 2.전역 변수 3.정적 변수 4.외부 변수 메모리 영역 1.스택 영역 2.데이터 영역 3.읽기 전용(코드, ROM) 4.힙 영역 1.지역 변수와 스택 영역 int main(){ int abc; } 함수 내에서 선언되는 변수들을 말한다. 함수 호출시 사용되는 메모리 영역이 스택 영역이므로 함수 안의 지역변수들도 스택 영역에 호출된다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2.전역 변수와 데이터 영역 **#include //1.전역 변수 int data1; int main() { //2.지역 변수 int data2; }** 전역변수는 함수 밖에서 선언되는 변수를 말한다! 전역 변수는 데이터 영역에서 메모리가 할당된다. 최초의 실행 함수, main함수 호출시에 데이터 영..

[C++기본] 9.구조체

구조체란? 사용자 지정 자료형이라고도 한다. 즉, 내가 직접 자료형을 조합해서 새로운 자료형은 만드는 것이다! 구조체의 기본 형식 struct Student { int id; bool sex; }; 위 구조체를 보면, 나는 Student라는 새로운 자료형을 만들었다. int형 변수 id 와bool형 변수 sex가 합쳐진 자료형이 바로 Student라는 새로운 자료형이라는 것이다. 결국 새로운 자료형이라고 해도 원래의 자료형들을 조합해서 만든 것에 불과하다. 구조체의 변수 접근 배열 마찬가지로 구조체는 각 요소가 연속적으로 메모리에 할당된다. 그렇다면, 구조체의 각 요소에 접근하고 싶다면??? Student s1;//변수 선언 cout

[C++기본] 8.배열

배열이란? 배열이란 같은 자료형으로 이루어진 갯수가 정해진 모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배열은 메모리 영역에 일렬로 할당되며, 인덱스(번호)는 0부터 시작합니다! 배열의 기본 형 int array[10]={}; 위 코드에서는 int형 자료형으로 10개의 변수를 선언하고, 각 값들을 0으로 초기화 해주었다는 뜻을 의미한다. 그럼 개별 요소들은 어떻게 접근할까? 배열은 인덱스을 통해 각 원소에 접근한다. array[0]=10; array[1]=20; array[2]=30; array[3]=40; array[4]=50; array[5]=60; 주의 할 점이 있다. 배열의 첫번째 인덱스는 1번째가 아니라 0번쨰부터 시작한다. 배열의 메모리는 연속적으로 할당된다 변수를 선언하면 메모리 영역에서는 그 변수의 자료형..

[C++STL] STL(Standard Template Library) 이란 무엇인가?

STL STL이란 Standard Template Library의 약자로 한국말로는 "표준 템플릿 라이브러리"이다. C++의 일반화 프로그래밍의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STL을 통해 C++의 모든 사용자들은 간결하고,편하게 개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구조, 알고리즘 등 여러 라이브러리와 그 함수들을 제공한다!! STL의 구성 요소 1.컨테이너 2.반복자 3.알고리즘 컨테이너(Container) STL에서 자료를 저장하는 그릇이다! 벡터, 리스트, 맵, 집합, 큐, 스택과 같은 다양한 자료 구조들이 제공되는 창고이다. 반복자(iterator) 반복자는 컨테이너 안에서 컨테이너으 요소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컨테이너 안에 저장된 요소들을 순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컴포넌트이다! 컨테이너와 알고리..

[C++기본] 7.함수

함수란? 프로그램의 정체는 바로 함수의 호출의 모임이다. C++에서는 기본적으로 가장 먼저 main함수가 호출된다. 즉, main 함수가 종료되는 시점이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시점이 된다. 함수는 특정 작업을 반복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진 공정이다! ⇒여러 함수들이 얽혀서 프로그램이 완성되는 것이다. 함수 안에 함수가 있는 경우에는 차례차례 진행되며 맨 마지막의 함수가 종료되어야 그전 함수가 종료, 또 그 전 한수의 종료, 결국에는 main함수가 종료되게 된다. 마치 STACK과 비슷한 자료구조이다. 함수가 사용하는 메모리 공간 함수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영역을 "스택 메모리" 라고 한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Add(int a, int b) { return a ..

[C++기본] 6.변수

지역 변수와 전역 변수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data1 = 100; int main() { int data2 = 100; } 함수안에 선언된 변수는 지역 변수 , 함수 밖에 선언된 변수를 전역 변수라고 한다. 지역변수는 선언된 함수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지만, 전역변수는 말 그대로 전역에서 사용 가능하다. data1은 전역 변수, data2는 지역 변수가 된다. 지역 / 전역 변수와 변수명 int data1 = 100; { int data1 = 150; printf("%d", data1); } printf("%d", data1); 서로 다른 지역 내에서는 같은 변수명으로 선언이 가능하다 어느 곳에서 사용하나에 따라 어떤 변수를 사용하는지 결정된다.

[C++기본] 3.연산자

연산자란? 연산자란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모든 연산에 필요한 문자를 말한다. 연산 시 컴퓨터는 레지스터 메모리에 중간 연산 결과를 저장해둔다. 1.산술 연산자 a = 10;//기본 할당 a = 5 + 10; //덧셈 a = 5 - 10; //뺄셈 a = 5 / 10; //나눗셈 a = 5 % 10; //나머지(Mod) a = 5 * 10; //곱셈 a = -5; //단항 뺄셈 a = +5; //단한 덧셈 정수,실수끼리의 나눗셈 int a=10/3; double b = 10. / 3.; 정수형끼리의 나눗셈 연산에서는 소수점은 사라진다. 실수형끼리의 나눗셈 연산을 위해서는 실수 형식으로 선언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a는 3, b는 3.3333333...이 대입된다. 4.5f 4.5 f가 붙어있다면 float ..

728x90